농사소식

농사정보주간농사정보 9월 넷째주 2023.09.18.~09.24.

주간농사정보(2023.09.18.~09.24.)입니다.

🌱 기상 상황 및 전망

✔ 최근 1개월(2023.08.10.~09.06.)

  • 기온은 25.6℃로 평년(24.5)보다 1.1℃ 높았음

  • 강수량은 267.0mm로 평년(237.1)보다 29.9mm 많았음(112.6%)

  • 일조시간은 156.6시간으로 평년(154.5)보다 2.1시간 많았음(101.4%)


✔ 1개월 전망(2023.09.18~10.15)

  • 기온은 대체로 평년보다 높겠음

  •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겠고, 10월 3주는 낮과 밤의 기온차가 크겠음

구 분
평균기온
강수량
9월 4주
(9.18.~9.24.)
평년(18.7~19.9℃)보다 높음평년(4.6~32.9mm)과 비슷
10월 1주
(9.25.~10.1.)
평년(17.6~18.8℃)과 비슷하거나 높음평년(5.0~18.5mm)과 비슷
10월 2주
(10.2.~10.8.)
평년(15.9~17.1℃)과 비슷하거나 높음평년(1.1~12.4mm)과 비슷
10월 3주
(10.9.~10.15.)
평년(14.6~15.8℃)보다 높음평년(1.6~10.1mm)과 비슷


✔ 이상저온 및 이상고온 전망

  • 주 최저기온 : 1~4주 이상저온과 이상고온 발생 가능성이 낮겠음

  • 주 최고기온 : 1~4주 이상저온과 이상고온 발생 가능성이 낮겠음

🌱 벼

✔ 후기 논 관리

쌀의 품질과 가장 크게 관련되는 것은 완전 물 떼기 시기로 논물을 완전히 떼는 시기는 기상, 토성 등에 따라 다르나 충분히 여물게 하기 위해서는 출수 후 30~40일경 실시

  • 물 떼는 시기가 적기보다 빨라지면 벼알이 충실하게 여물지 못하고 청미, 미숙립 등 불완전미가 증가하여 수량과 품질이 저하되며 물을 너무 늦게 떼면 수확 작업이 늦어져 깨진 쌀이 많이 발생함


벼의 쓰러짐이 발생하면 수발아 되거나 수량과 품질이 저하되고 콤바인 수확작업에 불편을 주므로 물 관리 및 사후대책이 필요함

  • 쓰러진 벼는 가능한 한 빨리 4~6포기씩 묶어 세워 주고 황숙기에 있는 벼는 반대편으로 제쳐주어 말린 후 조기 수확함


<벼 생육단계별 물 관리 방법>

생육기간물 대는 요령물깊이(cm)효과
낙수기
(물 떼는 시기)
완전 물 떼기
(이삭패기 후 30~35일 전·후)
0품질 양호, 농작업 편리

※ 품종, 지대별 이앙적기 차이, 가뭄에 의한 이앙지연 등에 따라 생육단계에 차이가 있음


<완전 물떼기 시기별 외관 품질>

완전 물떼기외관 특성(%)
완전미청미미숙립
출수 후 20일68.910.13.0
30일73.96.51.4
40일74.16.41.3


✔ 적기 수확 및 건조

수확 시기는 품종의 숙기 또는 출수기에 따라 다르나 조생종은 출수 후 45~50일, 중생종은 출수 후 50~55일, 중만생종 및 만식재배는 출수 후 55~60일이 수확 적기

  • 벼를 너무 일찍 수확하면 청미, 미숙립이 증가하고 늦게 수확하면 동할립, 피해립 등이 증가하여 완전미율이 떨어짐


콤바인 작업 속도가 과도하게 빠르면 회전수가 올라가 탈곡통에 투입되는 벼의 양이 많아져 벼알이 깨지는 등 미질이 떨어짐

  • 탈곡통 회전수는 1분에 500회전, 채종용은 300~350회전이 적당


물벼는 수분함량이 22~25% 정도이므로 온도변화에 따른 호흡량을 억제할 수 있는 안정 수분함량(약 15%)까지 건조시킴


<물벼의 수확 후 건조까지 시간>

물벼 수분 함량(%)건조까지 한계시간비고
20% 이상8시간 이내수확 적기
26% 이상4~5시간 이내수분이 많은 물벼


조생종 등 일찍 수확을 시작한 벼는 높은 온도에서 말리면 품질이 나빠지므로 일반용은 45~50℃에서 종자용은 40℃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서서히 말리도록 함

  • 벼 건조 시 동할립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초기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송풍 온도를 낮게 해줌

  • 건조온도를 55℃ 이상 높이면 완전미 함량이 낮아지고 동할미가 증가하여 쌀 품질이 낮아짐


저장 기간 중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벼의 수분함량 15%, 저장온도 10~15℃, 상대습도 70~80%정도 유지 시켜줌

  • 저온저장고에 톤백으로 적재할 때는 가능한 냉각공기에 접촉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두며 벽체에 발생하는 결로가 톤백에 닿지 않도록 저장함

🌱 밭작물

✔ 밭작물 수확 및 관리

(땅콩) 조생종은 9월 하순, 만생종은 9월 하순~10월 상순으로 적기에 수확을 실시하고 반드시 첫서리가 오기 전에 끝내야 함

  • 너무 일찍 수확하면 생육 기간이 부족하여 제대로 꼬투리가 여물지 않아 수량 및 품질이 떨어지고 너무 늦게 수확하면 꼬투리가 땅속에서 많이 떨어지므로 주의해야 함

  • 수확 후 저장할 때에는 저장온도 10~15℃, 종실 수분 6.5~8.5%, 상대습도를 56~69%로 유지 시킴

*장기간 종실 발아력 유지를 위해 상온에서 저장하는 경우는 종실의 수분을 10% 내외, 상대 습도 65% 이하로 협실째(피땅콩)로 저장함


(고구마) 고구마의 수량은 9월 하순까지 거의 결정이 되고 그 이후의 수량증가는 미미하므로 9월 하순부터 10월 상중순까지 수확

  • 저장을 하거나 전분용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10월 이후 전분가가 높은 시기에 수확하는 것이 좋음

  • 고구마는 10℃ 이하의 낮은 온도에 접하면 저장성이나 싹트는 힘이 낮아지므로 서리가 내리기 전까지 수확작업 완료함

  • 아물이(큐어링) 처리는 수확 후 1주일 이내에 온도 30~33℃, 습도 90~95%에서 4일 정도 실시하고 직사광선이 들지 않고 통기가 잘되는 창고에서 10~15일간 예비저장을 함

  • 고구마의 본 저장은 온도 12~15℃, 습도 85~90%임


✔ 보리·밀 파종

  • 안전다수확 재배를 위하여 월동 전에 잎 5~6개가 나올 수 있게 지역에 알맞은 적기에 파종하도록 함

  • 재배 지역별로 품종 선택 시 추위 견딜성, 익음때, 용도, 내재해성, 내병성 등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함


<지역별 파종 시기>

지역구분1일 최저기온 평균(℃)평야지(표고100m이하)중간지(표고100~200m)
북부수원-대전-영주-강릉선
이북
-8.0~-9.0
-7.0~-8.0
10.1.~10.10.
10.5.~10.15.
9.25.~10.5.
10.1.~10.10.
중부익산-순창-합천-청도-
삼척선 이북
-6.1~-7.0
-5.1~-6.0
10.10.~10.20.
10.12.~10.25.
10.5.~10.15.
10.7.~10.17.
남부익산-순창-합천-청도-
삼척선 이남
-3.1~-5.0
-3.0이상
10.15.~10.30.
10.20.~11.5.
10.10.~10.20.
10.15.~10.25.


*맥종별 재배한계지 1월 최저기온 평균 : (겉보리·밀) -10℃, (쌀보리) -8℃, (맥주보리) -4℃


  • 보리·밀 파종은 토양 산도 pH가 6.5~7.0이 되도록 농용석회를 10a당 150~200kg을 시용하고 퇴구비는 10a당 1,500kg 정도 시용한 후 갈아 줌

  • 종자로 전염하는 깜부기병, 줄무늬병 등이 있는데 예방을 위해 파종 3일전 종자 소독제를 이용하여 종자 1kg 당 2.5g을 종자표면에 골고루 묻도록 잘 섞어 줌

  • 적정 파종량은 맥종별, 지역별에 따라 10a당 13~20kg이고 세조파 재배는 10~14kg를 파종하며 만파할 때는 증량 파종함

🌱 채소

✔ 가을배추·무

(배추) 아주심기 후 15일 간격으로 3~4회 정도 비료를 주고, 생육이 부진한 포장은 요소 0.2%액(20L에 40g)을 잎에 뿌려줌

*생육중기부터 염화칼슘 0.3%액(20L에 60g), 붕산 0.2%액을 2~3회 잎에 뿌려줌


  • 배추 결구가 시작된 지역에서는 하루에 10a당 200L의 많은 물을 흡수하므로 관수시설을 이용하여 포장이 건조하지 않도록 관리


(무) 언 피해를 받는 온도는 0℃ 정도로 중북부지방은 갑작스러운 추위를 대비해 부직포나 비닐을 준비하고, 기상 예보에 따라 덮어줌

(병해충) 노균병, 균핵병, 진딧물, 나방류, 벼룩잎벌레 등 예찰 및 방제


✔ 마늘·양파

(마늘 파종) 난지형 마늘은 9월 하순경부터, 한지형은 10월 상순경

(씨마늘 소독) 잎마름병, 흑색썩음균핵병, 선충, 응애 등의 예방을 위해 반드시 적용약제로 침지 및 분의처리 후에 심도록 함

(양파 육묘) 잘록병 방제, 본잎 2~3매 될 때 묘를 1cm 간격으로 남기고 솎음 실시, 제초작업과 동시에 노출된 뿌리부분을 덮어줌

(양파 아주심기) 내륙지역은 빨리, 남부지역과 제주지역은 늦게 심음

  • 아주심기 시기가 너무 빠르면 추대되기 쉽고 늦으면 월동 중 동해나 건조 피해를 받기 쉬움

  • 조생종(10월 상~10월 중), 중생종(10월 상~11월 상), 만생종(10월 하~11월 중)


✔ 시설채소

(포장준비) 작목별·지역별로 적기 아주심기를 위하여 비닐교체, 부대시설 개보수, 육묘 등 포장 준비

(하우스 설치방향) 단동의 경우 동서 방향으로 설치하여야 겨울재배에 효과적, 연동은 남북 방향 설치가 광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

(광 환경 개선) 오이, 호박 등 과채류는 일조가 부족하면 착과불량, 기형과 발생, 수량 감소, 병해 등 발생, 광 환경 개선을 위해 아주심기 간격 조절, 반사판 설치, 잎 따주기, 일사량에 따른 변온관리 등

(온도관리) 동화작용이 왕성한 오전 중에 온도를 약간 높게 유지, 밤에는 동화 양분의 전류 및 호흡에 의한 양분 소모를 최대한 억제

(습도관리) 관수량을 적당하게 하고, 골에 짚을 깔아 공기 중의 수증기를 흡수하게 하고, 난방기를 사용하여 실온을 높여 습도와 온도를 적정하게 관리해야 함


✔ 딸기

(활착 촉진) 관부가 절반 이상 묻히고, 항상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

  • 활착 촉진을 위해 자주 살수하거나 점적호스로 세밀히 관수함

  • 활착 후 일시적 관수 중단으로 뿌리가 깊게 뻗어가게 함

  • 아주심기 후 활착을 위해 2주간 적엽하지 않으며, 보온 개시기까지 엽수를 4매 정도 유지하여 2화방 분화 촉진

  • 고온을 회피하며 활착 및 화아분화 촉진을 위해 2주간 차광함

🌱 과수

✔ 과실 수확

  • 과실은 한 나무에서도 열매 달린 위치에 따라 과실의 익음 때가 다르므로 익은 과실만 골라서 여러 차례 나누어 수확하도록 함

  • 맛이 들지 않은 미숙과를 출하할 경우 소비를 위축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완숙과를 수확하여 포장 규격을 다양하게 하여 출하

  • 신품종 과실은 익었을 때를 잘 살펴서 적기에 수확하도록 하고 크기, 색깔별로 선별을 철저히 하여 출하하도록 함


✔ 사과 품질관리

  • 과실의 색깔이 고루 붉게 차객되도록 하기 위해서 조생종은 수확 10~15일 전, 만생종은 수확 30일 전후를 기준으로 과실 봉지를 벗겨 주어야 함

  • 후지 사과는 수확 30일 전에 겉봉지를 벗긴 다음 5~7일 지나서 속 봉지를 벗겨 주도록 함

  • 과실에 씌운 봉지는 하루 중 과실의 온도가 높아진 오후 2~4시경에 벗겨 주어야 과실의 햇빛 데임 피해를 방지할 수 있음

  • 사과 과실을 가리고 있는 잎은 따주도록 하고, 햇빛 받는 면이 충분히 착색된 후에는 주의해서 과실을 돌려주도록 함

  • 과실 무게로 처진 가지는 묶어 올려서 가지와 가지 사이의 간격을 띄워 햇빛이 잘 들어가도록 하여 과실 전면이 착색되도록 함

  • 봉지를 벗기고 4~5일 후 나무 주위의 땅에 반사필름을 깔아 주면 밑 부분에 달린 과실의 색깔이 좋아져 품질을 높일 수가 있음


✔ 저온저장고 소독

  • 저온저장고의 소독 효과를 최대한 보기 위해서는 우선 저장고 내부를 솔질하여 물로 깨끗이 청소한 후 저장고를 하룻밤 말린 다음 염소계 살균소독제(락스 이용가능)의 약액이 자정고 내부에 흘러내릴 정도로 골고루 살포해줌

  • 저장고가 오래되어 균사체가 많은 곳에서는 물 솔질을 해서라도 균사체를 제거하여야 저장고 저장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 저온저장고 소독 후에는 반드시 냄새가 나지 않도록 환기를 충분히 한 다음 저장물을 입고하도록 함


✔ 기상재해 대비 과수원 사전관리

  • 수확기 과원은 기상재해에 매우 취약하여 태풍, 집중호우, 강풍 등으로 낙과, 상처과, 쓰러짐 발생이 우려되므로 사전 대비 철저

  • 나무마다 튼튼한 지주를 세우고, 지주 상단에 인근나무 지주와 연결하여 십자모양(매트릭스 형태)으로 고정시킴

  • 수형이 낮은 저수고 밀식재배에서는 철선 지주를 점검하여 선의 당김 상태를 확인하고, 줄기를 지주시설에 잘 고정하여 줌

  • 웃자란 가지, 밀생지 등은 알맞게 솎아주어 통광, 통풍을 도모함

  • 세력이 약한 나무와 어린나무, 열매가 많이 달린 가지, 포도나무, 양다래 등은 지주대 및 받침대 설치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함

  • 방조·방풍망이 설치된 과원은 유인 끈 등을 지주에 단단히 고정함

  • 우산식 지주를 설치한 농가는 지주, 끈 등을 단단히 고정시킴

  • 바람이 심한 과원은 주 풍향 방향에 방풍수 및 방풍망 점검

  • 배수로 정비 관리 및 경사지 및 새로 개원한 과원은 토양유실이 되기 쉬우므로 비닐 등으로 지면을 덮어주어 토양의 유실을 방지

🌱 화훼

✔ 프리지아

(프리지아 특성)

  • 프리지아는 붓꽃과에 속하는 알뿌리 식물로 원산지는 남아프리카로, 모래토양의 저지대에서 고지대의 암석주변에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짐

  • 꽃이 화려하고 향기가 좋아 웨딩이나 졸업식 등에서 많이 이용

  • 국내에서는 30여년 전부터 인천 중심으로 재배되었으며 전국으로 재배지역 확산


(프리지아 촉성재배)

촉성재배란 자연 상태에서 자라지 못하는 시기에 출하하는 것으로 프리지아는 이듬해 2월 이전에 출하하는 작형을 촉성재배라고 함

  • 촉성 : 12~2월에 출하하는 작형

  • 조기 촉성 : 11월 이전에 출하하는 작형

프리지아 촉성재배 ⓒ농사로 농업기술포털

  • 촉성재배를 위해서는 고온처리 및 훈연처리에 의한 휴면타파, 휴면타파 후에는 저온처리가 필요함

🌱 특용작물

✔ 도라지 수확

(수확시기) 파종 후 2~3년생을 가을이나 봄에 수확함

  • 식용으로 이용하는 경우 연중 수확이 가능함

  • 약용은 3~4년 이상 재배한 도라지를 지상부가 완전히 말라 죽은 가을 또는 봄에 수확함


(건조 및 조제) 벌크 건조기를 이용하여 50~60℃의 온도에서 3~4일간 건조해줌

*백길경 : 겉껍질을 대칼로 벗겨 말린 것, 피길경 : 껍질 채 말린 것


(신선도라지) 신선도라지를 장기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예건 처리를 수행하면 부패에 의한 손실률을 줄일 수 있음

  • 수확한 도라지를 플라스틱 상자에 담고 온도 8℃에서 선풍기 등을 이용하여 중량이 1.5~3% 감소 될 때까지 예건처리

  • 예건 처리 후 필름으로 밀봉하고 0℃ 저장고에 저장해줌


도라지 예건 처리과정 ⓒ농사로 농업기술포털

✔ 황기 채종

(채종시기) 이듬해 파종할 종자는 2~3년생의 건실한 포기에서 잘 여문 종자가 갈색으로 변할 때 채종함

  • 1년생을 채종하여 심으면 발아가 좋지 않고 부진함으로 주의함


(채종방법) 채종은 개화 후 30일 이상 경과한 포장에서 채종하고 종자는 색깔이 흑갈색이고 윤기가 나며 무거운 것이 좋음

  • 자가 채종 농가는 우량 개체를 따로 씨를 받아 심으면 균일한 집단을 얻을 수 있음


✔ 느타리버섯

(온·습도 관리) 낮과 밤의 기온 차가 심한 시기이므로 품종별 특성에 맞게 온·습도를 조절함

  • 생리장해로 인한 기형 버섯이나 병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일반적으로 13~18℃의 온도와 80~85%의 습도를 유지해줌


(환기관리) 환기량은 버섯 갓이 크고 줄기가 짧으면 감소시키고 반대 현상일 때에는 증가시켜줌

  • 대가 길고 갓이 작은 버섯 생산을 위해 환기를 억제하면 세균성 갈변병 피해가 증가하므로 주의함

  • 관수 후에는 버섯표면에 유리 수분이 오래 정체 되지 않도록 관리함


(수확관리) 수확된 버섯은 절단 후 갓이 터지거나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균일한 버섯으로 포장함

  • 수확 시에는 버섯 밑을 눌러주면서 옆으로 돌려 채취하여 균상손상으로 물이 고이거나 파괴되어 잡균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함


출처

농촌진흥청 주간농사정보 제38호(2023.09.18.~09.24.)



👇 농업·농사·귀농귀촌·농식품트렌드 등 여러가지 소식을 권농종묘 블로그에서 확인하세요. 👇

#농사정보 #주간농사정보 #기상상황 #기상전망 #벼 #벼물떼기 #벼물관리방법 #벼물떼기시기 #벼수확시기 #땅콩수확시기 #고구마수확시기 #보리밀파종시기 #배추웃거름주기 #마늘파종시기 #사과품질관리 #저온저장고소독 #프리지아 #프리지아촉성재배 #도라지수확 #황기채종시기 #황기채종방법 #권농종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