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소식

농사정보주간농사정보 2023.12.04.~12.10.

주간농사정보(2023.12.04.~12.10.)입니다.

🌱 기상상황 및 전망

✔ 최근 1개월(2023.10.26.~11.22.)

  • 기온은 10.8℃로 평년(9.6)보다 1.2℃ 높았음

  • 강수량은 65.3mm로 평년(46.3)보다 19.0mm 많았음(141.0%)

  • 일조시간은 176.6시간으로 평년(163.2)보다 13.4시간 많았음(108.2%)


✔ 1개월 전망(2023.12.04.~12.31.)

  •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높겠음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겠으나, 대륙고기압의 영향으로 일시적으로 추울 때가 있겠음

  •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많겠음

구분평균기온강수량
12월 2주
(12.4.~12.10.)
평년(1.2~3.0℃)보다 비슷하거나 높음평년(3.7~12.0mm)과 비슷하거나 많음
12월 3주
(12.11.~12.17.)
평년(0.0~2.0℃)과 비슷평년(2.5~4.9mm)과 비슷
12월 4주
(12.18.~12.24.)
평년(-0.2~2.0℃)과 비슷하거나 높음평년(1.3~4.2mm)과 비슷
12월 5주
(12.25.~12.31.)
평년(-1.4~0.4℃)보다 높음평년(0.8~3.8mm)보다 많음


✔ 주간 이상저온 및 이상고온 전망(2023.12.04.~12.10.)

  • 최저기온 : 이상저온 및 고온 발생가능성 낮음

  • 최고기온 : 이상저온 및 고온 발생가능성 낮음

주요 지점별 이상저온 및 이상고온 기준 ⓒ농사로 농업기술포털

🌱 벼

✔ 볍씨 준비

2024년 사용할 볍씨는 지역 적응품종 중에서 수매 품종과 품종 특성을 고려하여 재배 안정성이 우수한 고품질 품종을 확보함


벼 보급종은 해당 지역에 공급되는 품종과 품종 특성을 미리 알아보고 기간 내에 시·군 농업기술센터에 신청하도록 함


신품종으로 바꿔 재배하거나, 시범포에서 생산된 종자를 재배할 농가는 품종의 적응지역, 시비량, 병해충 등 재배 특성에 유의하여 품종을 선정함


자가 채종 종자 또는 자율 교환 종자를 사용하는 농가에서는 시·군농업기술센터에서 종자 활력 검사를 받은 후 사용함

  • 등숙기 잦은 강우에 따른 수발아 피해 발생 종자는 발아 검사 필요


※ 벼 보급종 종자 신청

공고 시한시도단위(읍면동) 신청기간전국단위 신청기간공급 시기
23.11.20.23.11.22.~12.20.24.1.3.~1.28.24.1.10.~3.31.


보급종 지역별 신청가능 품종(23.11.27. 기준) ⓒ농사로 농업기술포털

✔ 토양관리

토양검정용 시료 채취 시기는 작물 수확 직후에 하며, 농업기술센터의 지도에 따라 적정 시료를 채취하여 토양검정을 의뢰함

  • 농업기술센터 토양검정 결과를 토대로 시비처방서 발급과 지도를 받아 적정 토양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땅심이 낮은 논은 객토, 유기물 및 토양개량제, 깊이갈이, 배수 개선 등 재배 특성에 알맞도록 토양을 종합적으로 개량하고 관리해야 함


물빠짐이 너무 좋은 사질토나 물빠짐이 나쁜 점질토에서는 객토에 의해 토양 조건을 개선시켜 벼의 생육 및 미질을 향상시킴

  • 모래논, 질흙논은 찰흙 함량 15%로 증대되도록 객토(질흙논은 투수성 및 농기계 작업 능률증대)

*객토한 논은 10a당 퇴구비 1,500kg 또는 볏짚 500kg과 퇴구비 500kg 주고 깊이갈이 해줌(가급적 2~3회 경운)


유기물을 시용할 때 부숙된 퇴비를 주면 청미 및 심복백미의 발생이 적고, 현미 및 백미에서 완전미 비율 높음

  • 쌀의 완전미 비율은 퇴비 > 계분 > 유기질비료 > 관행 순으로 높음

*논토양의 적정 유기물 함량 : 2.5~3%


규산질비료 시용은 벼의 잎과 줄기를 튼튼하게 하며, 병해충이나 냉해를 줄일 수 있으므로 논갈이 전에 미리 주어서 유기물 분해 촉진

  • 규산질비료 시용 대상지 : 병해충, 냉해, 도복 등 규산이 부족한 재해 상습지, 규산 시용이 4년 지난 논 및 객토지 등

🌱 밭작물

✔ 보리·밀

맥류는 습해에 약한 작물이므로 배수로 정비를 철저히 해야 함

  • 습해를 받은 포장은 겨울을 나는 동안에 추위에 견디는 힘이 약해지게 되어 동사하거나 말라 죽게 되므로 반드시 배수를 철저히 하여 서릿발 피해 및 습해를 막아주어야 함

  • 논의 끝머리에 좌우로 배수로를 내고 배수로가 서로 연결되게 하여 배수구로 물이 잘 빠지도록 함


서릿발 피해 예방을 위한 밟아주기(답압) 실시

  • 서릿발이 생기면 지면이 솟구치면서 뿌리가 절단되고, 이후 저온, 건조, 강풍을 만나면 동해나 고사함

  • 서릿발이 서기 쉬운 남부지방에서는 12월 상·중순경에 수차례 밟아주어야 함(단, 과습한 토양 답압 시 토양이 단단해지므로 생육 부진의 원인이 되므로 주의)


✔ 감자

시설재배는 씨감자가 휴면상태에 있으면 감자 싹이 나오지 않으므로 휴면타파를 시켜야 함

  • 2기작 품종은 대략 50~70일 가량의 휴면기간을 가지는 품종들임

*대지, 추백, 추동, 추강, 추영, 고운, 제서, 새봉, 방울, 수선, 홍지슬, 강선, 남선, 금선 등이 있음

  • 휴면상태의 검정은 씨감자를 심기 전에 18~25℃ 실온에서 1~2주 두어 감자 싹이 나오는지 확인함


✔ 종서 신청 및 사전준비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재배 방법에 따라 우량종자를 준비토록 하며 약제 및 전용 비료 등 각종 자재는 미리 준비함

  • 내년도 종자용으로 사용할 경우 이형립, 손상립, 협잡물이 섞이지 않도록 정선을 실시함

  • 종자의 수명과 활력을 오래 유지하려면 알맞은 저장 온도와 습도에 보관하고 병충해, 쥐 피해 등을 받지 않도록 관리함


※봄감자 보급종 종자 신청

구분시도 단위(읍면동) 신청기간시도 단위(시도)
신청기간
전국 단위 신청기간공급시기판매대금 국고납입 최종기한
일반재배용(춘기)23.11.중.~12.31.24.1.1.~1.4.24.1.5.~1.14.24.2.15.~4.10.24.5.15.

*물량조정 및 추가 신청기간은 다소 변경될 수 있으며 신청기간, 품종 등 자세한 내용은 강원도감자종자진흥원 문의(033-339-8827)

  • 봄감자 공급가격(20kg)

봄감자 공급가격 ⓒ농사로 농업기술포털

🌱 채소

✔ 시설채소

(환경 관리) 일교차에 의한 시설 내 안개가 발생하지 않도록 측창과 천창 개폐에 신경을 써서 생육 저하 및 생리장해 현상을 방지해야 함

  • 작물별로 적온 관리를 하되 야간 최저온도를 과채류는 12℃ 이상, 엽채류는 8℃이상 유지되도록 관리(채소류 한계온도 참고)

 - 흐린 날이나 습한 날은 관수량을 줄임. 관수용 물은 미리 받아 적정온도 유지

 

(병해충 방제) 조기 예찰 및 발생 초기에 방제를 철저히 함

  • 환기로 적정 습도 유지, 병든 잎과 과실은 신속히 제거, 초기 적용약제 방제

  • 해충 발견 시 3~5일 간격 3회 정도 성분이 다른 약제 교호살포 또는 천적 사용


(강풍대비) 고정끈을 튼튼히 매주고 강풍이 불 때는 환기창을 모두 닫아 완전히 밀폐시켜 비닐과 골재가 밀착되도록 함

(폭설대비) 하우스 동 사이는 1.5m 이상 확보하고 제설 장비 준비

  • 비닐하우스 끈을 팽팽하게 당겨두어 눈이 미끄러져 내려오도록 함

  • 노후되거나 붕괴 우려 등 재해에 취약한 하우스는 보강 지주를 설치함

  • 겨울철 휴작일 때는 비닐을 미리 걷어 피해를 예방

  • 외부 보온덮개나 차광망 설치 시에는 눈이 잘 미끄러져 내려올 수 있도록 비닐을 덮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함

  • 눈이 녹은 물이 비닐하우스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주변 배수로를 깊게 설치하고 비닐을 씌워 습해를 예방함


✔ 주요작물 관리

(토마토) 일조 부족, 저온, 과습 시 잎과 줄기가 가늘어지며 동화양분 부족에 의해 착과율 감소, 과실 비대와 착색이 늦고 곰팡이병 발생

  • 정식밀도 조절, 노화 잎과 이병된 잎 제거, 화방당 착과 수 조절, 관수량을 줄임. 양액 공급량을 줄이고 EC를 높여 관리함


(딸기) 광합성 저하 및 낮은 지온은 양분 흡수가 불량하여 생육 부진, 왜화(작은 꽃)되어 약한 화방 출현 및 착과 불량, 잿빛곰팡이병 발생

  • 주간 환기, 야간 보온 관리로 적온 유지, 오전 관수로 시설 내 과습 방지


(오이) 줄기가 가늘고 연약하게 자라며 착과가 어렵고 곡과, 낙과, 끝이 가는과 등의 기형과 발생, 잿빛곰팡이병, 균핵병 발생 등

  • 햇빛이 강하고 광합성이 왕성한 날에는 야간의 온도를 높여주고 구름이 끼어 광합성이 약하면 야간의 온도를 약간 낮추어 관리함


✔ 마늘·양파

(월동 중 수분관리) 토양이 건조하면 양분 흡수 저해 및 동해 우려

  • 토양이 건조하면 찬 공기가 뿌리까지 들어가 얼어 죽기 쉬우므로 따뜻한 날 오전에 물을 주어 태양열에 의한 지온 상승 유도

  • 골에 관수할 때는 물이 골에 차면 바로 물을 완전히 빼줌. 습해 유의


(본답관리) 배수로를 정비하여 습해 예방, 비닐이 날리지 않도록 고정함, 한지형 마늘은 땅이 얼기 전 12월 중순까지 비닐을 덮음

  • 난지형 마늘은 월동 전에 싹이 트기 때문에 뿌리의 활착이 잘 되어야 겨울철에 동해 피해를 줄일 수 있음

채소류 한계온도 및 보온 효과 ⓒ농사로 농업기술포털

🌱 과수

✔ 겨울철 과원 관리

수확을 마무리한 과원에서는 잎이 떨어진 후 밑거름 바로 시비

  • 내년 2월 상·중순 뿌리 활동이 시작될 때 이용될 수 있도록 관리

  • 밑거름은 살포한 지 2~3개월 후 뿌리 흡수 시작


세력이 많이 약해진 과원에서는 잎이 떨어지기 전에 요소 3~5%를 엽면시비


월동 준비를 위해 나무 원줄기에 백색 수성페인트를 칠하거나 짚·신문지·반사필름 등 보온자재로 피복(복숭아는 1m 이상)


토양이 건조하지 않도록 수확 후부터 땅이 얼기 전까지 충분히 관수

  • 토양이 지나치게 건조하면 언 피해 발생 증가

  • 사질토 4일 간격 20mm, 양토 7일 간격 30mm, 점질토 9일 간격 35mm 관수


✔ 복숭아 동해피해 경감대책

(안전지대 선정) 품종에 따라 내한성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동해위험 피해빈도를 고려하여 최근 10년간 최저기온 조사 후 적지 선정

(주간부 피복) 지면과 가까운 원줄기는 온도 변화가 심하여 동해를 받기 쉬우므로 겨울철에 80∼100cm 부위까지 볏짚이나 부직포로 피복하여 보온 처리

  • 유목에서는 주간부에 백색페인트를 발라줌

  • 동해는 겨울철 찬바람에 의하여 조장되므로 상습적으로 동해를 받는 지역에서는 방풍림 또는 방풍망 설치


(품종 선택) 가납암백도, 오도로끼, 일천백봉 등의 품종은 동해에 특히 약하므로 중·북부 지역에서는 품종 선택 시 유의

(사후관리) 주간부 동해를 심하게 받은 나무는 빠른 시간 내 수피가 터진 부분을 노끈이나 고무밴드로 묶어 건조하지 않도록 관리

  • 동해를 받은 나무는 강전정을 실시하여 결실량을 줄이고 봄철 건조 시에 관수를 철저히 하여 수세 회복에 노력

  • 동해로 수세가 떨어졌을 때 기계유제 살포는 피하고 발아 직전에 석회유황합제를 살포

동해 방지를 위한 원줄기 피복 및 백색페인트 도포 ⓒ농사로 농업기술포털

동해 받은 주간부 수피 파열(좌) 및 목질부 갈변(중), 주간부 파열(우) ⓒ농사로 농업기술포털

🌱 화훼

✔ 심비디움(동절기 관리)

심비디움은 국내에서 제1의 양란으로 70년대에 도입되어 상업화가 이루어졌으며, 전체 분화 생산액의 약 30%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화훼 품목임


심비디움은 1화경에 15개 정도의 꽃들이 착생하여 매우 아름답고 화려하며, 꽃의 감상 기간이 2개월 정도로 길며, 서늘한 곳에서도 비교적 잘 생육하는 상록성 다년초로 우리나라, 일본, 대만, 중국, 호주, 네델란드 등의 국가에서 분화 또는 절화로 유통 중


심비디움은 묘 구입에서 출하까지 약 33개월~38개월으로 타 작목에 비해 생산기간이 길고 투자 비용도 높아 이를 감안하고 영농계획을 세우고 작물 재배해야 함


심비디움의 화아형성기는 보통 6~10월이며, 화아가 정상적으로 발달하기 위한 온도는 15℃ 전후임


(동절기 관리) 화아분화가 된 심비디움을 겨울철 성수기에 고품질 상품으로 출하하기 위해서는 온도관리가 필요

(온도관리) 주간 20∼25℃, 야간은 주간보다 10℃ 정도 낮게 유지

  • 1년째의 겨울철 야간온도는 15∼20℃, 2년째는 10∼15℃, 개화 당년에는 5∼15℃로 관리

  • 온도에 따른 심비디움의 개화반응이 달라서, 만생종은 조생종보다 높은 야간온도를 유지해야 개화가 촉진됨

  •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겨울철 난방비 절감을 위한 개화주를 야간에 저온처리 5℃에 60일간 처리한 것과 15℃로 관리한 것과 생육 특성에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


(광관리) 심비디움은 호광성 난으로, 기온이 아주 높지 않다면 8만Lux 정도의 강한 광선에서도 잘 자라나, 화아분화 이후에는 3만Lux 정도로 낮은 광선에서도 잘 자람

  • 특히 녹색과 황색꽃 품종은 개화기에 차광하는 것이 좋음


(가스장해) 난방에 의한 아황산가스 피해 주의

  • 아황산가스 피해를 받으면 발생 당일 잎 뒷면이 수침상으로 변하고 2∼5일 정도 지나면 잎이 탈색·변색하여 낙엽이 짐

  • 난방기 버너 부분 청소 및 관리를 철저히 하고 배기가스 연통의 이음새가 벌어지지 않도록 주의

🌱 특용작물

✔ 인삼

  • 포장관리

월동 전 배수로 정비로 적절한 토양수분 관리. 겨울철 토양 수분이 과다하면 이른 봄에 서릿발에 의해 뇌두가 손상되고, 이 부위에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주의함


본밭에서는 고랑 흙으로 두둑 위를 덮어 줌. 복토를 하면 온·보습의 효과뿐만 아니라 조기 발뇌 피해와 염해 피해를 줄일 수 있음

*겨울철 이상 고온이 지속되는 경우 투광율이 높은 차광지를 쓴 포장에서는 월동 전 조기 발뇌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흙덮기로 피해 예방


  • 해가림 시설 관리

표준 규격자재 사용과 표준 해가림 설치로 폭설 피해 예방, 폭설피해가 잦은 지역에서는 전후주연결식을 이용하는 것이 피해를 줄일 수 있음


폭설피해 예방을 위한 월동기 차광망 걷기

  • 눈은 상면 보온 효과가 있어 동해를 막아줌

* 배수가 불량한 인삼포는 과습에 의한 피해가 우려되므로 비닐 등을 상면에 덮어 누수를 막아 줌


  • 미리 걷지 못한 경우는 지속적으로 제설작업을 해줌

  • 집단 붕괴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중간 중간 차광망을 해체하여 연쇄붕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함


폭설 피해를 받은 포장은 조속히 복구함

  • 고랑 및 배수로 정비를 철저히 하여 부패, 병의 전염 등 2차 피해를 최소화해야 함


✔ 느타리 버섯

(온도관리) 겨울철 재배사 온도는 항상 10~16℃ 정도 유지될 수 있도록 관리

  • 겨울철 외부 온도가 낮으므로 배지 및 실내 온도 관리에 주의함

  • 주·야간 온도차가 크면 병해 발생이 많으므로 보온자재를 사전점검


(습도관리) 버섯재배사 실내와 균상의 습도는 85% 내외 유지

  • 바닥에 물을 뿌리거나 가습기를 이용하여 습도 조절

  • 물주기 작업 후에는 버섯에 수분이 오래 정체되지 않도록 환기관리 철저


(환기관리) 항상 신선한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환기관리를 철저

  • 버섯의 개체수나 온도변화에 따라 환기량을 조절하여 버섯의 품질을 높여줌

  • 환기를 소홀히 하면 버섯 발생이 억제되거나 기형버섯이 발생하므로 주의

  • 환기는 적은 양으로 장시간 동안 꾸준하게 실시

  • 내·외부의 온도차가 크므로 환기는 낮 시간을 이용하여 실시함

  • 외부의 찬공기를 직접 환기함으로서 내·외부 온도차로 인해 습기가 생기면 세균성갈변병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주의


출처 : 농사로 농업기술포털 주간농사정보 제49호


👇 농업·농사·귀농귀촌·농식품트렌드 등 여러가지 소식을 권농종묘 블로그에서 확인하세요. 👇

#농사정보 #주간농사정보 #기상상황 #기상전망 #벼관리 #볍씨준비 #벼보급종신청 #보급종품종종류 #밭작물 #보리 #밀 #감자 #감자종서신청 #봄감자보급종종자신청 #감자종자신청 #채소류최저한계온도 #겨울철과원관리 #복숭아동해피해경감 #화훼 #심비디움 #인삼관리 #느타리버섯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