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소식

농사뉴스주간농사뉴스 2024.03.02.~03.08.

주간농사뉴스(2024.03.02.~03.08.)입니다.

167개 시군별 밭가뭄정보, 매일 확인한다
농촌진흥청, 농업 밭가뭄 관리 시스템에서 밭가뭄 정보 제공
한국농어초공사 '논가뭄', 기상청 '기상가뭄' 정보도 동시에 확인할 수 있어

밭가뭄 관리 시스템은 농업적 가뭄과 기상학적 가뭄* 정보를 종합해 제공하기 위해 지난해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플랫폼입니다.

*농업적 가뭄은 농작물 생육에 직접 관계되는 토양수분과 관개용수(농업용 저수지)가 부족해 농작물에 해가 생기는 경우로 밭가뭄(토양유효수분율 기준)과 논가뭄(저수율 기준)으로 구분함. 기상학적 가뭄은 특정 지역의 강수량이 평균 강수량보다 적어 건조한 기간이 일정 기간 이상 지속하는 현상을 뜻함.

 

농촌진흥청은 주 1회 제공하던 밭가뭄 현황을 2월 말부터 매일 확인할 수 있게 밭가뭄 관리 시스템을 개선했습니다. 또한, 기존에 기관별 정보와 정보 제공 시점이 달랐던 것을 개선하여, 같은 시점의 밭가뭄 정보(농촌진흥청), 논가뭄 정보(한국농어촌공사), 기상가뭄 정보(기상청)를 이 시스템에서 한 번에 확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밭가뭄은 토양유효수분율, 논가뭄은 저수율, 기상가뭄은 1개월 단위의 표준강수지수(SPI1)와 표준강수증발산지수(SPEI1)를 기준으로 정합니다. 밭가뭄 관리 시스템에 접속해 가뭄 단계가 궁금한 날짜를 선택하면 밭가뭄, 논가뭄, 기상가뭄 현황을 한 번에 알 수 있습니다. 또한, 기관별 가뭄 정보시스템과 연결해 가뭄 정보와 관련한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밭가뭄 관리 시스템은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가뭄 현황 지도(그림 파일)와 가뭄 단계 또는 관련 인자 정보(엑셀 파일)를 내려받아 볼 수 있습니다.


🌱 밭농업가뭄 관리 시스템(NEWS-ADAN) 활용 방법

1. 밭가뭄 관리 시스템(drought.wedb.kr) 접속 후 상단메뉴에서 ‘가뭄 현황’ 선택

밭가뭄 관리 시스템 홈페이지 화면 ⓒ농촌진흥청

2. '가뭄현황' 메뉴 중 '전체' 클릭 → 오른쪽 달력 버튼에서 날짜 선택 후 표출되는 밭가뭄-논가뭄-기상가뭄정보를 동시에 확인 가능

가뭄현황 ⓒ농촌진흥청

3. '가뭄 현황' 메뉴 중 '밭가뭄' 클릭 → 밭가뭄의 주요인자 정보 다운로드

밭가뭄 화면 ⓒ농촌진흥청

4. '가뭄 현황' 메뉴 중 '논가뭄' 클릭 → 논가뭄의 주요인자 정보 다운로드

논가뭄 현황 ⓒ농촌진흥청

5. '가뭄 현황 ' 메뉴 중 '기상가뭄' 클릭 → 기상가뭄의 주요인자 정보 다운로드

기상가뭄 현황 ⓒ농촌진흥청

출처 : 농촌진흥청 2024.03.05. 보도자료


3월 축산물 물가안정을 위해 「소(牛)프라이즈! 2024 대한민국 한우세일」 실시

대한민국 한우세일 ⓒ축산경제신문

농림축산식품부는 농협경제지주와 전국한우협회 등과 협력하여 3월 8일(금)부터 3월 10일(일)까지 3일 동안 전국 농축협 하나로마트(약 400여 개소)에서 대대적인 한우 할인행사인 ‘소(牛)프라이즈 2024 대한민국 한우세일’을 일제히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서 3월 하순(3월 21일~3월 31일)에도 온․오프라인 유통업체 등이 참여하는 전국단위 대규모 한우 할인행사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할인행사 세부일정과 할인대상 부위 등은 업체․매장별 사정에 따라 유동적임

 

이번 할인행사는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은 낮추고, 공급 확대로 인한 도매가격 하락으로 한우농가가 겪고 있는 경영상 어려움을 완화하고자 마련되었습니다.

 

3월 8일(금)부터 3월 10일(일)까지 실시되는 할인행사에서는 평시 판매가격의 최대 50% 할인된 가격으로 한우가 판매되며, 100g당 1등급 등심의 경우 6,580원 이하, 1등급 불고기․국거리류의 경우 2,480원 이하 수준에서 판매될 예정입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판매가격과 비교하더라도 최대 30~40% 저렴한 수준입니다.

 

한편, 최근(2월 하순) 한우 수급상황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소매가격은 부위별 수요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공급증가 영향으로 지난 수준을 유지하거나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전년 대비 소매가 등락률 : 등심(1등급) 0.5%↑, 설도(1등급) 6.0%↓, 양지(1등급) 2.1%↓


🌱 농축협 하나로마트 할인행사(3월 8일~10일)

✔ 행사 일시 : 3.8.(금)~3.10.(일)

✔ 참여 대상 : 전국 농축협 계통 매장 약 400여 개소

✔ 할인 수준 : 평시 대비 최대 50% 할인판매

✔ 할인 판매 기준가격

품목
1++등급
1+등급
1등급
2등급
등심
8,660
7,530
6,580
4,870
불고기·국거리류
3,260
2,840
,2480
1,840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2024.03.06. 보도자료


초봄부터 찾아오는 맥류 병, 제때 방제하세요
이른 고온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잎집눈무늬병', '위축병' 미리 살펴 초기 방제해야

3월은 겨우내 멈춰있던 맥류 생장이 활발해지는 시기입니다. 이때 이상고온으로 따뜻해지면* 어린 식물체가 평년보다 일찍 병해충에 노출돼 피해 정도와 규모가 커질 수 있습니다.

*올 2월 중순 기준으로 전국 대부분이 평년 4월 초순 날씨인 10도씨(℃)가 넘는 이상고온을 보임(2023년 3월 평균기온: 9.4도씨로 평년 대비 3.3도 높은 이상고온이 나타났음)

 

농촌진흥청은 봄철 이상고온 현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맥류 병해충 피해양상을 알리고 철저한 대비와 적극적인 방제를 당부했습니다. 

밀 잎집눈무늬병(왼쪽, 가운데), 밀 위축병(오른쪽) ⓒ농촌진흥청

봄철 이상고온으로 잘 발생하는 맥류 주요 병해충으로는 잎집눈무늬병과 진딧물이 옮기는 위축병이 있습니다. 약 10도(℃) 이상 기온이 지속되면 잎집눈무늬병 원균이 식물체에 침입해 병이 진행됩니다. 또한, 위축병을 옮기는 진딧물이 깨어나거나 지난해 낳은 알이 부화해 어린 식물체의 수액을 빨아먹으며 바이러스를 옮깁니다.

 

✔ 잎집눈무늬병(Sharp eyespot)

(증상) 토양이나 식물 잔재물 등에서 겨울을 난 병원균이 식물체 줄기 아래쪽에 침입해 잎집에 갈색 타원형 병 증상을 남깁니다. 심한 경우 어린 식물이 누렇게 변하거나 말라 죽습니다. 일반적으로 생육 후기에 이삭이 말라 죽거나(백수), 쭉정이 등이 생깁니다. 최근 맥류 주산지에서 3~5월 사이의 잎·줄기 갈변, 반점 중 3분의 1 이상*에서 잎집눈무늬병원균이 확인되었습니다.

 

*’20~’21년 3~5월, 남부 맥류 주산지(강진, 사천 등 8개 지역)에서 병징을 보인 식물체를 수집해 병원균을 확인한 결과 109개의 균주 중 39개가 잎집눈무늬병원균으로 확인됨.

 

(방제) 잎집눈무늬병은 토양으로 전염하므로 초기 방제가 매우 중요합니다. 보리 잎집눈무늬병에는 티플루자마이드, 플룩사피록사드 액상수화제 등의 등록 약제를 발생 초기에 처리하며, 밀과 귀리에는 아직 등록된 약제가 없습니다. 병원균은 토양뿐만 아니라 식물 잔재물에도 남아 있으므로 수확 후 잔재물을 철저히 제거해 다음 해 병 발생을 예방해야 합니다.

 

✔ 위축병(BYDV, Barley Yellow Dwarf Virus)

(증상) 진딧물이 옮기는 바이러스병으로, 감염되면 보리 잎은 노란색, 밀․귀리는 보라색 또는 붉은색으로 변합니다. 병이 심해지면 식물체가 자라지 않고 말라 죽어 수확량이 감소합니다. 최근 진행한 무작위 채취 조사*에서 맥류 절반이 위축병 감염으로 진단돼 주의가 필요합니다.

*’20~’21년 10개 지역(익산, 강진, 사천)의 맥류(밀, 보리, 귀리) 시료 899점 중 452점(50.3%)에서 BYDV 감염 확인

 

(방제) 바이러스병은 직접 치료가 어렵고 병을 옮기는 기장테두리진딧물, 보리수염진딧물 등을 방제해야 합니다. 병에 걸려 식물체의 생육이 지체될 때 요소 2% 액을 10아르(a)당 100리터씩 2~3회 잎에 뿌리면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요소 2% 액: 물 20L당 요소 400g

 

작물별 등록 농약 정보는 농촌진흥청 누리집 ‘농약안전정보시스템(https://psis.rda.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묘 황화(초기)와 지제부의 갈색 타원형(눈모양) 병징 ⓒ농촌진흥청

출수기 백수 현상(후기)



👇 농업·농사·귀농귀촌·농식품트렌드 등 여러가지 소식을 권농종묘 블로그에서 확인하세요. 👇

#농사뉴스 #가뭄 #봄가뭄 #밭가뭄정보 #논가뭄정보 #기상가뭄 #밭가뭄관리시스템 #축산물 #물가안정 #한우세일 #소프라이즈 #맥류 #보리 #밀 #방제 #잎집눈무늬병 #위축병 #병예방 #농약안전정보시스템